맨위로가기

동천동 (용인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천동은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에 속하는 행정동이다. 동막리와 원천동을 합쳐 동천리라고 불린 데서 유래했으며, 2001년 용인시 행정 구역 개편으로 신설되었다. 동천동은 동천초등학교, 손곡중학교 등 교육 기관과 국도 제43호선, 신분당선 동천역 등의 교통 시설을 갖추고 있다. 또한,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친 유물 산포지와 이종무 장군 묘, 황림 묘 등의 문화재가 존재하며,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인시의 행정동 - 신봉동 (용인시)
    신봉동은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에 속하는 행정동으로, 과거 용구현과 용인현 수진면 지역이었으며,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등의 문화재와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고, 2020년 8월 기준 38,247명이 거주한다.
  • 용인시의 행정동 - 신갈동
    신갈동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하며, 경부고속도로와 영동고속도로가 분기하는 신갈 분기점과 수원 나들목이 있는 교통의 요지이고, 조선시대 현화사 터, 용인운전면허시험장, 아파트 단지, 한국민속촌 등이 위치한다.
  • 용인시의 법정동 - 영덕동
    영덕동은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한 동으로, 영통리와 덕동 일부가 합쳐져 신설되었고, 광교신도시 조성으로 수원시 영통구 하동으로 일부 편입되기도 했으며, 용인서울고속도로 흥덕 나들목이 위치한 교통 요충지이자 흥덕지구를 중심으로 주거 시설이 잘 갖춰진 곳이다.
  • 용인시의 법정동 - 상현동
    상현동은 용인시 수지구에 있는 동으로, 일제강점기 용인군 지내면의 상리와 만현 고개에서 유래되었으며, 심곡서원, 문정공 조광조 묘 등의 문화재와 아파트 단지가 위치해 있다.
  • 2001년 설치 - 화성시
    화성시는 경기도 남부에 위치하며 2001년 화성군에서 승격되었고 사도세자의 능인 융릉의 '화성'에서 유래, 동북부는 산지, 중앙은 구릉, 서부는 평야, 리아스식 해안을 가지며 철도와 고속도로 교통망이 발달한 2025년 특례시 승격 예정 도시이다.
  • 2001년 설치 - 광주시 (경기도)
    광주시는 기원전 6년 백제의 수도였으며, 조선 시대에는 관요가 설치되어 백자 제작이 성행했고, 2001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제조업, 상업 및 서비스업이 주요 산업이고 남한산성, 팔당호, 광주경기도자박물관 등이 관광 명소이다.
동천동 (용인시)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글동천동
한자東川洞
로마자 표기Dongcheon-dong
MR 표기Tongch'ŏn-dong
설명context
대한민국 읍면동 정보
광역시도경기도
시군구용인시 수지구
면적16.5
인구49,650 (2022년 2월 기준)
법정동동천동, 고기동
50
339
동주민센터경기 용인시 수지구 신수로 783번길 40
홈페이지동천동행정복지센터

2. 역사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통폐합 때 동막리(東幕里)와 원천동(遠川洞)을 합쳐 동막에서의 '동'자와 원천에서의 '천'자를 따서 동천리라 하였다. 동막은 광주군용인군의 경계가 되는 하천의 동쪽에 막을 지어 군 경계의 표시로 삼았다 해서 동막이라는 설이 있고, 병자호란 때 수많은 막사가 있었다 해서 그렇게 불렀다는 설이 있다. 구전에 의하면 이 마을은 용인군과 광주군의 경계인데 이곳에 지나는 손님을 대접하기 위해 주막이 있었고, 동쪽으로 가는 주막이 있던 동네라고 불리던 것이 동막이 됐다는 것이다.[2]

1636년 병자호란 당시 수진면 머흐내(마희천) 고개, 험천(險川)에서 조선군과 청나라군 사이에 전투가 벌어졌다. 인조 14년 충청도감사 정세규(鄭世規)가 이끄는 조선군이 험천에 진을 쳤으나, 청나라 군대의 습격으로 전군이 패배했다. 이 험천 전투에서 좌영장 최진립(崔震立)등이 참전했으나, 우영장 심일민(沈逸民)은 화살에 맞았고, 심일민을 제외한 권임길(權臨吉), 공주 영장(營將) 최진립, 참모관 이경선, 의병장 이민진(李敏進) 등은 전사했다. 조정에서는 이들의 공을 기려 표창하고, 심일민에게는 관직을 상으로 내렸다.[2]

통신사행 부사(副使)로 참여했던 김세렴(金世藏, 1593∼1646)은 해사록(海樣錄)에서 험천 전투의 참혹함을 기록했다. 1637년 인조 15년 3월 8일 일기에 따르면, 험천에는 시체가 쌓여 있고 피가 수십 리에 이어져 말이 나아가지 못할 정도였다고 한다. 같은 해 4월 7일 예조(禮曹)의 청으로 험천의 시체를 수습하여 매장하고 제사를 지냈다. 이후 효종 7년(1656년)과 현종 9년(1668년)에도 마희천(麻戱川) 전쟁터에서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2]

용인시의 행정 구역 개편은 2001년 12월 24일에 있었으며,[1] 2005년 10월 31일에는 수지출장소가 수지구청으로 승격되었다.[2] 2006년 9월에는 새 청사 건물로 이전하였고,[3] 2007년 9월 1일에는 동천동주민센터로 변경되었다.[4]

2. 1. 지명 유래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통폐합 때 동막리(東幕里)와 원천동(遠川洞)을 합쳐 동막에서의 '동'자와 원천에서의 '천'자를 따서 동천리라 하였다. 동막은 광주군용인군의 경계가 되는 하천의 동쪽에 막을 지어 군 경계의 표시로 삼았다 해서 동막이라는 설이 있고, 병자호란 때 수많은 막사가 있었다 해서 그렇게 불렀다는 설이 있다. 구전에 의하면 이 마을은 용인군과 광주군의 경계인데 이곳에 지나는 손님을 대접하기 위해 주막이 있었고, 동쪽으로 가는 주막이 있던 동네라고 불리던 것이 동막이 됐다는 것이다.[2]

  • '''동막곡'''은 예부터 광주군과 용인군의 경계가 동막천(東幕川)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평지가 있는 하천 동쪽에 마을을 지어 표계(表界)를 삼아 동막이라 하였다는 속설도 있으며, 병자호란 당시 험천(險川)에서 청나라 군사와 큰 전투를 벌일 때 군대의 막사가 무수히 많아서 동막곡이라 하였다고 한다.[2]


원천동은 현재 탄천으로 불리는 물길이 '험하다'를 의미하는 험천(險川)과 '머흐다'의 머흔천으로 불렸고 먼천 · 머내 · 모내 등으로 변형되어 다시 한자로 의역화되어 원천(遠川)으로 표기하였다. 『1872년지방지도』에도 험천 · 험천점막 등의 명칭이 보인다.[2]

  • '''머내'''는 영조(英祖)때 제작한 읍지, 기타 지리지 등을 보면 옛지명인 험천에 점(店)이 표기되어 '험천(險川)' 또는 '험천점'(險川店)으로 표기가 되어 있다. 고어(古語)에 '머흐다'라는 말이 있는데 '머흐다'는 험하다는 뜻이며 '내'는 천(川)을 뜻하므로 한자의 의역하면 '험천(險川)'이 된다. 따라서 험천의 한자표기 지명을 우리말로 쓸 때는 '머흔천'이 되고 이것이 속음 탈락되면서 '먼천' 또는 '머내', '모내'로 변형된 것인데, 다시 한자로 의역하여 '원천'(遠川)으로 표기하기도 하였다.[2]

2. 2. 험천 전투와 역사적 기록

1636년 병자호란 당시 수진면 머흐내(마희천) 고개, 험천(險川)에서 전투가 벌어졌다. 인조 14년 충청도감사 정세규(鄭世規)가 이끄는 조선군이 험천에 진을 쳤으나, 청나라 군대의 습격으로 전군이 패배했다. 이 험천 전투에서 좌영장 최진립(崔震立), 별장 황박(黃珀), 중군 이건(李楗), 참모관 이경선(李慶善), 방량차사원 이상재(李尙載), 군기차사원 김홍익(金弘翼), 심약(審藥) 이시량(李時亮) 등이 참전했으나, 우영장 심일민(沈逸民)은 화살에 맞았고, 심일민을 제외한 권임길(權臨吉), 공주 영장(營將) 최진립, 참모관 이경선, 의병장 이민진(李敏進) 등은 전사했다. 조정에서는 이들의 공을 기려 표창하고, 심일민에게는 관직을 상으로 내렸다.[2]

통신사행 부사(副使)로 참여했던 김세렴(金世藏, 1593∼1646)은 해사록(海樣錄)에서 험천 전투의 참혹함을 기록했다. 1637년 인조 15년 3월 8일 일기에 따르면, 험천에는 시체가 쌓여 있고 피가 수십 리에 이어져 말이 나아가지 못할 정도였다고 한다. 같은 해 4월 7일 예조(禮曹)의 청으로 험천의 시체를 수습하여 매장하고 제사를 지냈다. 이후 효종 7년(1656년)과 현종 9년(1668년)에도 마희천(麻戱川) 전쟁터에서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2]

'머내'는 '험하다'는 뜻의 옛말 '머흐다'와 '내'(川)가 합쳐진 말로, 한자로 '험천(險川)'이라 표기했다. 험천은 '머흔천'으로도 불렸으며, '먼천', '머내', '모내' 등으로 변형되었다가 다시 '원천'(遠川)으로 표기되기도 했다. 1861년 김정호(金正浩)가 만든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에는 하류를 '탄천', 상류 부근 발원지를 '장천(莊川)' 혹은 '원우천(遠于川)'이라 기록하여, 원천, 원우천(遠于川), 험천(險川), 머내, 마희천(麻戱川)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음을 알 수 있다.[2]

2. 3. 연혁


  • 2001년 12월 24일 : 용인시의 행정 구역 개편이 있었다.[1]
  • 2005년 10월 31일 : 수지출장소가 수지구청으로 승격되었다.[2]
  • 2006년 9월 : 새 청사 건물로 이전하였다.[3]
  • 2007년 9월 1일 : 동천동주민센터로 변경되었다.[4]

3. 인구

동천동 성별 연령별 인구 구조
[3]

동천동의 인구는 49,030명이고 용인시의 4.0%를 차지한다. 남자는 24,185명, 여자는 24,845명이다. 동천동의 인구 구조는 일반적인 도시의 특징이 나타나서 유소년 인구 비율은 17.1%로 용인시 전체(16.1%)보다 높고 노인 인구 비율은 10.8%로 용인시 전체(12.2%)보다 낮다.[4]

4. 전해오는 이야기

고기동 배나무골(이곡)은 순조(純祖) 31년(1831) 어모장군행오위도총부도사(禦侮將軍行五衛都摠府都事) 이진영(李鎭英)이 낙향하여 집에 들어가자 그해 집 뒤편에 죽어있던 배나무가 배꽃을 피웠고, 그 배를 순조에게 진상하여 배꽃이 핀 지역을 배나무골(이곡)로 부르게 되었다.

수지읍 동천리에 딸린 마을 중 하나로 동천식물원 앞에서 동천로 135번길 사이에 음성나환자들이 자급자족하는 염광농원이 있었는데, 이는 자활촌의 하나로 환자를 위한 병원 설립이 필요하여 만들어졌다. 이후 이 병원은 피부병 전문병원으로 전국적인 명성을 얻게 되었다. 현재는 병원이 없어지고 가내공업, 가구단지, 용인동천 지구단위계획구역(최연규 조합장)으로 변경되었다.

5. 문화재 및 유적


  • 용인 동천동 유물산포지: 삼국시대~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로 총 세 곳에 분포하고 있으며, 동천동(東川洞) 유물산포지 1~3으로 구분된다.
  • * 유물산포지 1: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서 국지도 23호선을 따라 성남시와 용인시의 시계가 지나는 동원교를 건너 지방도 14호선으로 진입하여 1.5km 정도 가면 성모교육원이 있다. 성모교육원 남동편에 자리한 동막마을(동천 94)과 서쪽의 산사면 말단부를 포함하는 지역으로, 밭 경작지와 하우스 주변에서 삼국시대 토기 조각과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의 도기 조각, 자기 조각이 소량 발견되었다.
  • * 유물산포지 2: 동천교 인근 밭 일대(동천 58-1)에 있으며,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의 도기 조각과 자기 조각이 채집되었다. 부분적으로 유물이 집중되는 곳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 유물산포지 3: 중손곡마을 일대(동천 548-7)에 있으며, 주로 밭 경작지에서 고려시대 도기 조각이 발견된다. 그 외에 소량의 조선시대 도기 및 자기 조각도 확인되었다.
  • 이종무 장군 묘: 경기도 기념물 제25호이다.
  • 이완 묘 및 정려각: 향토유적 제51호이다.
  • 용인 보정동 고분군에 잔존한 고구려 석실분에 이어 약 10개의 연도를 갖춘 지상식 또는 반지하식 횡혈식 구조 고구려 석실분이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 401-3번지에서 확인된다. 이들 무덤은 유실되거나 훼손되었지만, 남아있는 형태에서 횡혈식 석실묘로 지상식과 반지하식으로 나뉘고, 모줄임식 천장구조와 벽체에 회칠 흔적 등 고구려 무덤의 전형적인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횡혈식 석실묘는 한 개의 봉분에 2개의 석실을 마련한 쌍실묘 등이 확인되고 있으며, 추가장을 염두에 두고 무덤을 축조한 것으로 보인다.

6. 교육 기관

동천동에는 초등학교 3개교, 중학교 2개교가 설치되어 있다.


6. 1. 초등학교

6. 2. 중학교

7. 교통

동천동은 용인시 수지구 북쪽에 위치하여 성남시와 가깝다. 국도 제43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분당내곡도시고속화도로, 용인서울고속도로 등이 지나가며, 신분당선 동천역과 수인분당선 죽전역이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7. 1. 도로


:*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 - 성복동 - 풍덕천동 - 죽전동
:* 성남 - 경부고속도로 - 서울 - 부산

  • 분당내곡도시고속화도로

:* 성남 - 서울
:* 광교동 - 서울

7. 2. 광역 철도

8. 아파트

단지명건설사시행사주소입주비고
더샵 동천 포레스트포스코이앤씨일레븐건설㈜용인시 수지구 동천로178번길 42018년 8월
더샵 동천 이스트포레용인시 수지구 동천로178번길 42020년 3월
동천파크자이지에스건설㈜㈜와이즈플래닝2019년 7월
동천센트럴자이㈜DSD삼호용인시 수지구 고기로45번길 40-182019년 5월
동천자이용인시 수지구 고기로45번길 40-182018년 8월
동천 디이스트동문건설㈜동문건설㈜용인시 수지구 동천로 642007년 10월
동천마을 6단지 동문굿모닝힐DMC건설㈜용인시 수지구 동천로 53
동천리 삼성쉐르빌삼성중공업㈜유영건설2000년 9월
보뜨랑마을 벽산블루밍벽산건설벽산동천주택조합용인시 수지구 신수로783번길 502004년 11월
동천마을 1단지 현대홈타운현대건설수지동천현대연합주택조합용인시 수지구 수지로 4872002년 4월
동천마을 2단지 현대홈타운서산주택용인시 수지구 동천로63번길 10
수진마을 1단지 써니밸리이테크이엔씨㈜한국토지신탁2004년 1월
수진마을 5단지 신명스카이뷰신명종합건설㈜
수진마을 3단지 우미이노스빌㈜우미토건㈜우미종합건설용인시 수지구 손곡로 67
동천역 센트럴 아이파크㈜효성, 현대산업개발용인시 수지구 손곡로 54


참조

[1] 뉴스 어진 사람들이 사는 충절과 효의 고장, 도시와 농촌이 공존하는 도농복합도시 경기 용인시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0-08-30
[2] 서적 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 국토지리정보원 2008
[3] 웹사이트 동천동 연령별 인구 https://estat.yongin[...] 2018-09-29
[4] 웹사이트 용인시 월별통계 https://www.yongin.g[...] 용인시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